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서울과학교육
Vol.31 (발행일 2023년 7월)
Vol.30 (발행일 2023년 1월)
Vol.29 (발행일 2022년 7월)
Vol.28 (발행일 2022년 1월)
Vol.27 (발행일 2021년 7월)
Vol.26 (발행일 2021년 1월)
Vol.25 (발행일 2020년 7월)
Vol.24 (발행일 2020년 1월)
Vol.23 (발행일 2019년 7월)
Vol.22 (발행일 2019년 1월)
Vol.21 (발행일 2018년 7월)
Vol.20 (발행일 2018년 1월)
Vol.19 (발행일 2017년 7월)
Vol.18 (발행일 2017년 1월)
Vol.17 (발행일 2016년 7월)
Vol.16 (발행일 2016년 1월)
Vol.15 (발행일 2015년 7월)
Vol.14 (발행일 2015년 1월)
Vol.13 (발행일 2014년 7월)
SPECIAL MESSAGE
SPECIAL THEME
EDUCATION ISSUE
SCIENCE PEOPLE
SCIENCE INSIDE
SCIENCE LIFE
SEOUL SCIENCE PARK
전체메뉴 닫기
Previous
Next
SCIENCE PEOPLE Vol.31
오희린, 안영인 학생
방산고등학교
권수아 학생
서울방현초등학교
김청해 교사
창덕여자중학교 과학교사
방송인 정선희
SBS ‘TV 동물농장’ 진행자
SPECIAL MESSAGE - 31호
설세훈
서울특별시교육청 부교육감
AI 혁명은 교육 패러다임 전환의 기회
개별 맞춤형 학습으로 미래인재 키워야
SCIENCE EDUCATION ISSUE Vol.31
특별한 학생을 위한 보편적 과학 수업1) : 장애학생을…
→
서울 과학교육 위해 불철주야 작동하고 있는 첨단 기자재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주요 내용
→
SCIENCE INSIDE Vol.31
[서울시과학우수학교]
대원고등학교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 사회는 유례 없이 빠른 속도로 변화해가는 흐름에 발맞추어 대원고등학교는 기존의 것을 답습하는 교육에서 벗어나 새롭고 창의적인 교육 프로그램들을 도입하고 차세대 리더 양성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해오고 있다. 창의융합형 과학 실험실의 안정장비 및 설비를 내실화하고 ICT, AI와 연계한 지능정보기술 교육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첨단화 실험기구들을 갖추면서 과학영재학급 등 이공계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융합형 인재 육성’이라는 비전을 실천하고 …
SCIENCE INSIDE Vol.31
[과학관련단체]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과학수도 대전에 위치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 Science, KRISS)은 국가표준기본법 제13조에 명시된 우리나라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National Metrology Institute, NMI)이다. 세계 각국은 국가측정표준기관 또는 지정기관(Designated Institute, DI)과 같은 국가측정표준 정점기관을 지정하여 국가측정표준을 확립하고 산업체, 시험연구기관, 정부 부처 및 사용자들에게 보급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SCIENCE INSIDE Vol.31
[생생 과학수업 노하우]
인공지능과 과학 수업의 재미있는 콜라보레이션
가끔 인공지능(AI)에 대해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고는 한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모든 과학기술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쓰일 때 가장 가치가 있다. 또한 “인공지능은 ‘따뜻한 창의성’을 현실화시켜줄 수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강력한 도구 중의 하나”이다. 그렇기에 우리 학생들에게 교육과정 중 필요한 필수교과는 아니지만, 우리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들 ‘방법’인 인공지능을 배워야 한다고 말로 열 번 설명하는 것보다 한번 보여주고 체험하게 하고 싶었다.
SCIENCE INSIDE Vol.31
[생생 과학수업 노하우]
인공지능 시대, 학교에서의 과학 수업 제안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1956년 존 매카시(John McCarthy)가 주도한 다트머스 회의(Dartmouth Conference)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로 약 7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고 있는데, 인공지능 활용은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누구나 미래의 필수 역량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변화하는 상황에서 고등학교 물리 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함께 물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챗GPT…
Previous
Next
SCIENCE LIFE Vol.31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과학문화재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과학유물을 떠올려 보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인 경주 첨성대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 그리고 세계 최초의 우량계 측우기,…
에너지 혁명의 꿈, 인공태양
태양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별이다. 우리가 별이라고 부르는 천체는 ‘항성’으로 언제나 빛을 내는 천체라는 뜻이다. 항성은 언제나 빛나는 존재이니 당연히 스스로 빛을 낸…
유튜버와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통한 과학 이야기
“어떻게 지평좌표계로 고정을 하셨죠?” 최근 지인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이 말은 ‘안될과학’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과학 전문 유튜버 궤도가 귀신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며 …
SCIENCE PARK Vol.31
SSP Photo News
과학은 더 이상 어려운 분야가 아닙니다. 서울특별시교육청과학전시관은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지식 저변 확대를 위해, 학생·일반인 모두에게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과학을 만들기 위해 매년…
NOTICE
06.30
1차 수정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06.20
데이터 입력 준비중입니다.